페이스북, 암호화폐 내년 발행…금융회사 위기
▲페이스북이 드디어 자체 암호화폐 ‘리브라(Libra)'의 발행 계획을 공개했다. (사진출처=페이스북)
페이스북이 자체 암호화폐 ‘리브라(Libra)’의 발행 계획을 공개했다. 리브라는 비트코인처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개인 간 송금 용도로 활용될 전망이다.
18일(현지시간) AP통신·더버지 등 외신들은 페이스북이 암호화폐 리브라의 발행 계획을 내놨다고 보도했다.
페이스북이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백서(사업 계획서)에 따르면 주요 파트너사와 함께 내년도 상반기 리브라를 발행한다. 리브라는 금이나 달러 등과 연동돼 가치 변동이 없는 스테이블 코인 형태다.
리브라는 페이스북의 메신저, 왓츠앱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개인 간 송금, 온라인 물품 구매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리브라를 통한 송금은 암호화폐 월렛(지갑)인 ‘카리브라(Calibra)’에서 이뤄진다. 사용자들이 페이스북에서 리브라를 사고 카리브라에 보관하는 식이다.
‘리브라 프로젝트’에는 세계적인 기업들이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비자, 마스터카드, 페이팔, 스포티파이 등 20여 개의 업체가 포함됐다.
▲ 페이스북의 향후 계획을 설명하고 있는 마크 주커버그 페이스북 대표. (사진출처=페이스북)
한편 SK증권은 “페이스북이 은행의 종말을 고하는 첫발을 떼다”고 평가했다.
한대훈 SK증권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페이스북이 금융회사로 영역 확대를 꾀할 것”이라며 “플랫폼 시대에서 23억 명의 유저를 확보한 것은 큰 힘”이라고 말했다.
이어 “웬만한 은행의 고객 수보다 훨씬 많으며 대부분 국가에서 이용하다 보니 기존 은행들이 어려움을 겪는 외국 진출도 쉽다”고 했다.
한 연구원은 “경제와 금융시장, 외환시장이 불안한 국가의 국민으로서는 자국의 은행보다 페이스북과 같은 글로벌 기업의 신뢰도가 더 높다”며 “이미 상당수 국가에서는 ICT 기업들에 대한 신뢰도가 은행보다 높다”고 밝혔다.
한 연구원은 페이스북이 리브라를 송금, 결제, 대출, 단기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페이스북이 스테이블 토큰 형태를 취해 결제기업, 온라인 플랫폼 업체들과 손잡고 결제사업에 뛰어들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한 연구원은 “페이스북이 SNS를 넘어 금융업으로 영역 확대를 위한 첫발을 뗐다. 다른 테크기업들이 어떻게 대응할지 모르겠지만, 페이스북에 대한 전망은 밝으며 주가도 이를 반영하고 있다”며 “핀테크가 아닌 테크핀의 시대다. 금융회사에는 위기”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