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처피아, 새로운 SNS 시장 연다…‘스낵’ 출발
▲곽진영 시그마체인 대표. (사진=조용기 기자)
‘미래 창작자들의 유토피아’ 퓨처피아가 기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단점을 보완하며 시장 선점을 노린다.
18일 서울 강남구 압구정 광림아트센터 장천홀에서 열린 ‘퓨처피아 디앱(Dapp) 출범식’에서는 퓨처피아의 비전과 1호 디앱 ‘스낵’이 소개됐다.
퓨처피아는 블록체인 운영체제(OS)를 지향하는 시그마체인 플랫폼에서 작동하는 디앱(DApp) 서비스다.
시그마체인이 개발하는 SNS와 의료, 스포츠, 금융, 패션 등 각 분야의 메인넷 가운데 SNS 메인넷이 퓨처피아다.
곽진영 시그마체인 대표는 “다른 블록체인의 단점을 보완하고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한 결과가 퓨처피아”라며 ‘100여 개의 API’ ‘SSO(single sign on)’ ‘STO(single transfer on)’ 등 3가지 강점을 설명했다.
퓨처피아는 채팅, 게시판, 화상통화, 파일 공유, 방송 등 SNS에 필요한 기능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100여 개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한다.
또 사용자가 퓨처피아에서 단 한 번의 인증만으로 모든 디앱을 이용할 수 있는 SSO 시스템을 적용했다. 사용자는 디앱별로 개인정보 제공범위 등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도 보호할 수 있다.
STO는 댑 유저들이 퓨처피아 메인넷에서 안전하게 송금할 수 있는 미들 노드를 말한다.
유저들은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원화와 거래할 수 있는 유틸리티 토큰인 피아(PIA)와 메신저에서 회원가입, 친구 초대, 좋아요, 조회 수, 투표, 베팅, 광고 시청 등에 참여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스테이블 코인인 스낵(SNAC)을 사용할 수 있다.
퓨처피아는 이더리움과 이오스, 트론 기반의 디앱 랭킹을 봤을 때 사용자들을 모을 수 있는 킬러 디앱이 없다고 판단했다.
퓨처피아 1호 디앱 SNS메신저 ‘스낵’을 비롯해 엔터테인먼트 ‘쿠키스타’, 뷰티업체 ‘엘픽스’, 보상형 주소입력 플랫폼 ‘어드레스’, 교육업체 ‘라이커월드’, 대리운전 ‘코인드라이버’, 정보자산관리 ‘타임’ 등 7개 디앱을 개발 중이다.
스낵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스팀잇 등 SNS 플랫폼을 넘어서겠다는 계획이다.
장덕현 시그마체인 부장은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처럼 광고를 통한 수익을 기업에서 가져가거나 스팀잇의 스팀파워처럼 영향력 강한 유저에 의해 콘텐츠가 좌지우지되는 문제, 이더리움 기반 메신저의 한계 등을 극복하기 위해 스낵을 제작하게 됐다”고 밝혔다.
유저들은 스낵에서 활동으로 보상받고 유저 간 채팅도 할 수 있다. 앱 내 스마트 월렛을 활용해 송금도 할 수 있다. 앞으로는 개인 마켓을 열어 물건을 사고팔 수도 있다. 32개국의 언어가 지원돼 더 많은 유저와 소통할 수 있게 된다.